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LH 청년전세임대 신청방법 완벽정리 (2025년) - 자격·임대료·당첨 꿀팁까지 모두 공개!

by 애숙언니 2025. 2. 22.

 

 

안녕하세요! 오늘은 청년층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는 LH 청년전세임대 신청방법을 총정리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LH 청년전세임대는 LH에서 기존 주택을 전세로 계약한 후 청년에게 저렴하게 재임대하는 제도로, 청년들에게 인기 있는 주거지원 정책 중 하나입니다.

아래에서 신청 자격, 지원 한도, 신청 방법, 주의사항까지 모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LH 청년전세임대 신청 자격

LH 청년전세임대는 무주택인 청년이라면 신청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자격은 아래와 같습니다.

신청 가능한 대상자

  • 대학생 (재학생 및 해당 연도 입학·복학 예정자 포함)
  • 취업준비생 (졸업 후 2년 이내인 미취업자)
  • 만 19세 이상 ~ 만 39세 이하 무주택 청년 (미혼)

우선순위별 자격

  • 1순위: 생계·의료·주거급여 수급자, 보호대상 한부모가족, 차상위계층 가구 청년, 자립준비청년, 청소년복지시설 퇴소 청소년
  • 2순위: 본인과 부모 합산 소득이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00% 이하, 국민임대주택 자산 기준 충족자
  • 3순위: 본인 소득이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00% 이하, 행복주택 청년 자산 기준 충족자

 

2. LH 청년전세임대 임대 조건 및 지원한도

LH 청년전세임대는 지역에 따라 지원 한도가 다릅니다.

전세금 지원 한도

  • 단독거주(1인)
    • 수도권: 최대 1억 2천만 원
    • 광역시: 최대 9천 5백만 원
    • 기타 지역: 최대 8천 5백만 원
  • 공동거주(2~3인)
    • 수도권: 1억 5천만 원~2억 원
    • 광역시: 1억 2천만 원~1억 5천만 원
    • 기타 지역: 1억 원~1억 2천만 원

임대보증금 및 월 임대료

  • 임대보증금
    • 1·2순위: 100만 원
    • 3순위: 200만 원
  • 월 임대료: 전세지원금 중 보증금을 제외한 금액에 대해 연 1~3%의 저렴한 이자

 

3. LH 청년전세임대 신청 방법 및 절차

LH 청년전세임대 신청은 LH청약플러스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합니다.

신청 절차

  1. LH청약플러스에서 온라인 신청
  2. LH에서 신청자 자격 조회
  3. 대상자 개별 통보
  4. 입주대상자에게 주택 물색 방법 안내
  5. 입주자가 주택을 직접 물색 후 LH에 통보
  6. LH에서 전세 가능 여부(권리분석) 검토
  7. LH-임대인-입주자 간 전세계약 및 임대차계약 체결
  8. 최종 입주

※ 유의사항: 신청 시 주민등록등본, 소득증빙서류 등 서류를 미리 준비하고, 신청 기간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4. LH 청년전세임대 당첨 꿀팁

  • 1순위 대상자라면 반드시 1순위로 신청하여 우선 배정을 노리세요.
  • 주택 물색 시 주변 생활 인프라, 교통 등 조건을 잘 따져보면 장기 거주 시 만족도가 높아집니다.
  • 선정 후 빠르게 주택을 찾는 것이 중요하니, 미리 지역을 정해두고 물색을 시작하면 좋습니다.

 

5. 함께 읽으면 좋은 정보

  • LH 청년전세임대 입주 후 관리 및 주의사항
  • 청년 임대보증금 대출 비교 (금리 낮은 곳 추천)

 

지금까지 LH 청년전세임대 신청 방법과 자격, 임대료 조건을 정리해 드렸습니다. 추가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